본문 바로가기
Life's/금융 경제

2023 MSCI 지수 리밸런싱 (종목 편입,편출) 스케줄

by 지식의 별 2023. 4. 27.
반응형

 

1. MSCI 지수란?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는 모건 스탠리의 자회사로 글로벌 투자자들이 국제적인 투자결정을 할 때 참고하는 지수를 제공하는 글로벌 투자조사 및 리서치 기업입니다. 이들은 1969년 세계 최초로 'MSCI 지수' 라는 글로벌 벤치마크 주가 지수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각국마다 존재하는 대표 주가 지수(ex. S&P 500, 코스피, 닛케이 225, 항셍지수)의 산출 방식 차이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며, 여러 국가에 투자를 하기 위한 일관된 하나의 지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2. MSCI 지수의 종류 및 영향력

 

MSCI Index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크게 1) 선진국 지수 2) 신흥시장 지수 3) 프런티어 시장으로 나뉨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신흥시장 지수에 편입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계 펀드의 약95%가 MSCI Index를 추종하고 있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MSCI Index는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의 운용규모가 점점 커지고, ETF가 각광을 받고 있어 MSCI Index의 영향력은 증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선진국 지수에 편입이 된다면 거대 글로벌 금융자본이 우리나라로 유입 될 것이며, 그렇기에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선진국 지수 편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입니다.

 

 

3. MSCI 지수 리밸런싱 일정

 

MSCI 지수는 리밸런싱 (MSCI 주식 편입, 편출)을 1년에 총 4회 (2월,5월,8월,11월) 실시하고 있습니다. MSCI 편입/편출은 해당 종목의 시가총액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결정됩니다. MSCI 편입은 글로벌 패시브 자금의 유입을 의미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회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사전에 MSCI 지수 리밸런싱 일정을 파악하고 지수 편입이 예상되는 종목은 어떤 것이 있나 파악을 한다면 투자에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 MSCI 지수 리밸런싱 일정을 참고 하시고 향후 MSCI KOREA에 어떤 종목이 편입/편출 될지 공부해 보는 것을 어떨까요.

 

  • 5월 : 발표일 (5월 11일), 효력일 (6월 1일부터)
  • 8월 : 발표일 (8월 10일), 효력일 (9월 1일부터)
  • 11월 : 발표일 (11월14일), 효력일 (12월 1일부터)

 

2023년 MSCI 리밸런싱 일정, 미국시간 기준

 

 

 

 

반응형

'Life's > 금융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월 공모주 일정  (0) 2024.01.14
230316 상한가 종목  (0) 2023.03.16
2023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일정  (0) 2023.03.16
230314 상한가 종목  (0) 2023.03.14
230313 상한가 종목  (0)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