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22 제조기업의 재고자산 1. 제조기업의 재고자산 서비스기업은 서비스를 판매하기 때문에 재고개념이 중요하지 않다. 제조 부문이 없는 상기업은 제조된 상품을 외부에서 구매해서 고객에게 판매하고, 제조기업은 자체에서 제품을 생산해서 판매한다. 그러므로 상기업과 제조기업은 서비스 기업과는 달리 재고자산이 존재하며 그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상기업에서도 재고자산을 상품의 유형별로 구분하면 품목이 다양해지지만 이를 하나로 묶는다면 상품으로 묶을 수가 있다. 즉, 상기업의 경우 상품과 재고자산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에 비해 제조기업은 통산 재고자산을 원재료, 재공품, 그리고 완제품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첫째, 완제품으로 전환되는 기본적인 자재투입물을 원재료 (raw material)라고 한다. 원재료라고 해서 철강석, .. 2023. 1. 25. 제품원가의 구분 1. 제조원가의 3요소와 원가대상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료와 작업자, 기계나 용구, 그리고 전기 수도 등의 생산요소들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들 생산요소들이 발생시키는 원가를 요약해 보면 크게 재료비 (또는 재료 원가), 노무비 (또는 노무원가) 그리고 경비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를 제조원가의 3요소라고 한다. 발생된 원가들은 제품별로 집계되는데, 이것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원가가 된다. 이때 원가가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제품을 원가대상 (cost objective)이라고 한다. 원가라는 용어 그 자체만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원가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원가대상이 결합되었을 때 의미를 가진다. 제조기업에서 주요 원가대상은 생산되는 제품이다. 그렇지만 제품만이 경영자들이 관심을 갖는 유일한 .. 2023. 1. 25. 원가회계의 과거와 현재 18세기 중엽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원가의 개념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시기였다. 중세 시대부터 베네치아, 안트워프, 제노바, 암스테르담 그리고 영국 런던으로 이어지는 유럽 중심의 패권주의와 더불어 세계 경제는 주로 상업 무역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주로 농어업과 같은 1차산업이 주류였으며, 공업은 노동집약적인 가내수공업을 위주로 단일활동의 조직 형태를 띠었다. 예를 들어 섬유산업에서 양털 깎기, 털실 방적, 방직, 염색 등의 일련의 작업 단위가 개별적인 조직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이런 환경에서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곧 원가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생산자는 소비처에서 구입한 가격보다 더 많은 현금을 소비자로부터 회수하면 되었기 때문에 성공 여부에 대한 측정치를 비교적 쉽게 구할 수 .. 2023. 1. 25. 상기업과 제조기업 &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회계학을 처음 접하게 되는 회계 원리에서 우리는 주로 일반 상기업에 대한 회계처리를 중심으로 공부했습니다. 상기업은 외부로부터 상품을 구매하여 이를 소비자에게 재판매함으로써 이익을 발생시키는 기업을 말합니다.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도매상들이 상기업에 속한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이들 상기업들은 제조시설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상기업은 제조시설을 가진 다른 기업에서 생산해 놓은 제품을 구매하여 재판매할 뿐입니다. 따라서 상기업의 주요 경영활동은 구매와 판매가 핵심입니다. 이에 반해 제조기업은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제조기업이 상기업과 다른 것은 제조시설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한다는 것입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다양한 원가가 발생합니.. 2023. 1. 2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