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가회계

표준원가의 종류

by 지식의 별 2023. 1. 30.
반응형

1. 표준원가의 종류
 표준은 사전에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산정되어야 한다. 표준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노력해도 달성하기 어려운 이상적인 표준보다는 현실적인 표준이 많이 이용된다. 표준은 대개 이상적 표준, 정상적 표준, 그리고 현실적 표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적 표준은 이상적인 작업조건 하에서 달성될 수 있는 표준이다. 어떠한 기계 고장이나 작업중단이 허용되지 않으며 작업자들의 휴식 시간 등도 고려되지 않는다.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들이 100% 능력을 다 발휘하고 작업환경도 최상의 조건을 가정한다. 따라서 이론적 표준 혹은 공학적 표준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상적 표준은 현실적으로 달성하기가 불가능한 목표치이다.
 정상적 표준은 정상적인 조업 수준이나 능률 수준에 대하여 설정된 표준원가이다. 여기서 정상이란 경영활동에서 이상 또는 우발적인 상황을 제거한 것이다. 정상적인 표준은 비교적 장기간의 과거 실적치를 통계적으로 평균화하여 미래의 예상 추세를 가미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경제 상황이 비교적 안정된 경우 재고자산가액과 매출원가계산에 가장 적합하며, 원가관리를 위한 성과평가의 척도가 될 수 있다.
 현실적 표준은 능률적인 작업조건 하에서 평균적인 근로자가 합리적인 노력으로 달성 가능한 표준이다. 정상적인 감손과 정상적인 기계 고장 및 공손 그리고 정상적인 작업자의 여유시간 등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표준보다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으며, 작업자들이 정상적인 노력을 한다면 달성 가능한 표준이다. 현실적 표준과 실제원가의 차이는 현실에서 벗어난 비효율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2. 표준원가의 설정
 표준원가계산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준원가를 설정해야 하는데, 표준은 제품 원가의 3요소인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 그리고 제조간접비에 대한 수량표준과 가격표준으로 설정된다. 수량 표준은 제품 1단위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산요소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TV 1대를 생산하는데 직접 작업시간이 2시간 소요될 것으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가격표준은 생산요소 1단위를 투입하는데 얼마만큼의 금액이 발생하는지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즉 TV를 생산하는데 직접 작업 시간당 10,000원의 직접노무비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준원가는 수량표준과 가격표준의 곱으로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표준원가는 각 원가요소별로 나누어 설정한다. 즉 제품 단위당 표준원가는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각각에 대하여 위와 같이 수량표준과 가격표준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모두 합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직접재료비에 대한 표준설정은 투입되는 재료의 수량표준과 가격표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가격표준은 재료의 구매금액뿐만 아니라 부대비용과 수량할인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수량 표준은 일반적으로 재료명세서(bill of materials : BOM)에 의해 산출된다. BOM은 완제품 한 단위 생산에 투입되는 각 원재료의 종류와 수량을 기록한 목록이다. 이때 공손이나 작업폐물 등을 고려하여 표준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품 1단위 생산에 필요한 직접재료의 표준수량과 직접재료 1단위당 가격표준을 곱하여 직접재료비의 표준원가를 산출한다.

 단위당 표준 직접재료비 = 단위당 표준 원재료 수량 x 원재료 단위당 표준가격
             (표준원가)                          (수량표준)                             (가격표준)

 둘째, 직접노무비의 표준설정은 표준작업 시간과 표준임률에 의해 이루어진다. 표준작업 시간은 제품 1단위 완성하는 데 투입되는 직접 작업시간을 말하며, 종업원의 휴식 시간이나 청소, 작업준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시간당 표준임률은 종업원들의 임금뿐만 아니라 세금이나 복리후생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품 1단위 생산에 투입되는 직접 작업시간의 표준시간과 직접 작업시간 1시간당 표준임률을 곱하여 직접노무비의 표준원가를 산출한다.

 단위당 표준 직접노무비 = 단위당 표준 직접 노동시간 x 시간당 표준임률
             (표준원가)                            (수량표준)                      (가격표준)

 셋째, 표준 제조간접비의 설정이다. 제조간접비는 그 구성항목이 매우 많으므로 각각의 구성 항목별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은 그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효익이 별로 크지 않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 항목별로 표준원가를 설정하지 않고 원가행태에 따라 크게 변동제조간접비와 고정제조간접비의 두 가지로 나누어 표준원가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변동제조간접비의 표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변동제조간접비의 발생을 논리적으로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조업도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동집약적인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에서는 직접 노동시간이, 그리고 자본집약적인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에서는 기계 시간이 변동제조간접비와 적절한 인과관계를 가질 것이므로 이들을 각각 조업도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통적으로는 직접 노동시간을 표준작업 시간으로 사용하였다.
 변동제조간접비의 표준설정은 표준조업도 (표준작업시간)와 표준 배부율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변동제조간접비는 말 그대로 제조간접비 중에서 변동비만을 말한다. 표준작업 시간은 기계작업 시간, 컴퓨터 사용시간, 직접노동 시간 등 시간기준으로 제조간접비를 배부하는 무엇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표준 배부율은 직접노무비의 표준임률과 일치하는 것으로 시간기준으로 설정된 표준이다. 따라서 제품 1단위 생산에 투입되는 표준작업 시간과 작업시간 1시간당 표준 배부율을 곱하여 변동제조간접비의 표준원가를 설정한다.

  단위당 표준변동제조간접비 = 단위당 표준조업도 x  조업도 단위당 표준 배부율
             (표준원가)                              (수량표준)                           (가격표준)

 반면에 고정제조간접비의 경우에는 변동제조간접비와는 달리 관련 범위 내에서는 조업도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고정제조간접비는 원가 형태상 조업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므로 제품에 배부되는 고정제조간접비의 배부율은 조업도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제품 단위당 표준고정제조간접비는 제품 단위당 표준조업도와 조업도 단위당 예정배부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제품 단위당 표준고정제조간접비는 제품 단위당 표준조업도와 조업도 단위당 예정 배부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이때, 제조간접비 배부를 위한 기준조업도와 실제 달성된 조업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제조간접비 배부 차이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단위당 표준고정제조간접비 = 단위당 표준조업도 x  조업도 단위당 표준 배부율
             (표준원가)                              (수량표준)                             (가격표준)
 

반응형

'원가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T회계 : 역류원가계산  (0) 2023.02.07
표준원가 차이분석  (0) 2023.01.31
표준원가의 의의  (0) 2023.01.30
변동원가계산의 의의  (0) 2023.01.29
결합제품 원가계산  (0) 2023.01.29